뇌세포 재생은 나이와 상관이 없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뇌세포에는 전기 신호나 화학신호를 이용하여 다른 뇌세포와 정보를 주고 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경세포(뉴런)와 신경세포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교세포가 있다. 세포수는 신경교세포가 더 많지만, 뇌세포라는 말은 대체적으로 신경교세포를 제외하고 정보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뉴런만을 이야기 한다.
뉴런은 다른 세포들과는 다른점이 많다. 태아 때 대부분 만들어지며, 사람이 죽을 때까지 사는, 수명이 가장 긴 세포 가운데 하나다. 늙은 쥐의 뉴런을 장수한 다른 쥐의 뇌에 이식한 실험에서 뉴런은 두세대를 살고도 여전히 건강함이 확인되었다.
뉴런은 분열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뉴런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자원을 정보전달 하는데 사용하도록 최적화 되어 있어서 분열할 수 있는 시간도 자원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새로운 뉴런이 추가되면 1천억개에 달하는 뉴런 사이의 복잡한 소통망을 혼란에 빠뜨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뉴런은 분열하지 않기 때문에 20년 전까지만, 해도 죽으면 다시 만들어지지 않는 세포로 알려져 있었다.
20세기 중반까지만해도 과학자들은 새 뉴련이 만들어지는 것은 태아와 유아기에 한정된다고 믿었었는데, 새와 쥐, 원숭이의 어른 뇌에서 뉴런의 생성이 차례로 확인이 되면서 100년 가까이 지켜온'어른의 뇌에서는 뉴런이 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는 신화가 깨지게 되었다. 1998년에는 마침내 사람 어른의 뇌에서도 새 뉴런이 만들어지는 것이 확인 된 것이다.
뉴런은 일반적인 세포와 달리 직접 분열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뉴런이 죽어 새 뉴런이 필요하게 되면 여러 단계의 신비스러운 과정을 거처 새 뉴런이 만들어져 뉴런의 기능이 정상화 된다. 뇌 해마와 같은 특별한 영역에서 잠자고 있던 신경줄기세포가 활성화되어 세포 분열하는 방법으로 증식한 다음, 특수한 형태의 필요한 뉴런으로 분화된다. 새로 만들어진 뉴런은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여 다른 뉴런과 소통이 가능한 전형적인 형태로 성숙한 다음 다른 뉴런과 필요한 연결을 만들어 기존의 뉴런 회로에 통합된다.
뉴런도 다른 세포와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퇴화를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끊임없이 회복이 되고 적응 하며, 새로 생성되는 방법으로 재생되기 때문에 우리가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진 것도 최근의 일이다.
뉴런의 회복은 뉴런을 구성하고 있는 DNA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때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되는 것으로 다른 세포와 별 차이가 없다. 뉴런의 적응은 어떤 뉴런이 다른 뉴런들과 새로운 연결을 만들거나 기존의 연결을 강화하여 뉴런 사이에 소통 기능이 향상 되는 것을 뜻하는데, 뉴런의 의사소통 특성 때문에 다른 세포와 달리 뉴런만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다. 또한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몸속의 세포들은 수명이 다하거나 다치거나 독성물질에 노출되거나 영양결핍이나, 산소부족, 스트레스등 여러가지의 요인들로 인해 끊임없이 죽거나 손상된다. 하나의 세포에 들어있는 60억개의 DNA가운데 하루 동안 수십만 개가 손상되는데, 이처럼 손상되는 세포들이 정상으로 회복되고 죽은 세포들의 자리는 새 세포로 채워지기 때문에 우리는 건강하게 살아 갈 수 있는 것이다.
뇌세포인 뉴런이 죽거나 기능을 상실하면 기억이나 의사 결정과 같은 인식능력을 차즘 잃어가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뉴런 퇴화라고 한다. 오늘날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과 같은 뉴런에 관계된 퇴화성 질병 환자가 급증하면서 삶의 질이 심각하게 낮아지고, 사망자도 급증하는 주세다. 이런 질병에 대한 마땅한 치유 방법은 아직까지 찾지 못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뉴런의 생성과 관련한 연구들은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 뉴런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과 어떤 행동을 할 때 뉴런이 잘 만들어지는지를 밝혀 주고 있다. 뉴런의 생성은 뉴런이 많이 죽어서 걸리는 알츠하이머, 파킨슨, 헌팅턴병과 같은 질병의 예방과 치유에 큰 희망을 안겨 주고 있다. 특히 치매 예방에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뇌세포(뉴런)을 생성하게 만드는 생활 습관
악기연주: 악기 연주는 정신적 민첩성과 학습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청각, 촉각, 감각, 논리, 분석적 관여의 조합으로 악기 연주중 리듬을 타는 행동은 뇌의 여러 영역을 촉진한다. 악기 연주가 뇌에 가지는 영향은 운동이 신체에 가지는 영향과 비슷하다. 규칙적이고, 장기적인 연습으로 실제적인 면과 창조적인 면을 결합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정보 저장 능력을 높이면서 학습력을 증진한다.
그러니. 아무리 나이가 많더라도 새로운 뉴런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음악을 시작해 보자.
뇌 산소공급: 파워워킹, 춤, 수영, 자전거 타기, 에어로빅 운동의 예다. 이런 종류들의 운동은 새로운 뉴련을 자라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뇌의 능력을 향상 시킨다.
또한 뇌에 중요한 혈류를 도우며 새로운 혈관을 생성하고 기존의 혈관을 강화한다. 혈액의 흐름을 개선함으로 뇌가 받는 영양소와 산소의 양이 증가해 결과적으로 새로운 뉴런을 생성하는 선순환이 되는 것이다.
하체운동: 다리를 움직일 수록 더 많은 뉴런을 만들어 낸다. 즉. 많이 걸을수록 뇌의 학습과 기억 중심에서 신경 생식을 촉진한다는 주장이 있다. 주위를 돌아다니는 것은 새로운 환경을 탐구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뇌를 자극한다. 방향을 잡는 것을 배우고 기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뇌를 위한 음식물 섭취: 오메가3은 모두 알다시피 뇌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뇌는 오메가3를 스스로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식단에서 챙겨 먹어야 한다. 오메가3를 잘 섭취하면 뉴런의 퇴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과일이나 야채등 섬유질과 젖산 발효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장을 건강하게 유지함으로써 건강한 장이 새로운 뇌세포를 배양 하는데 필요한 분자의 종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많이 있다.
뇌를 위해 필수지방산과 섬유질을 섭취하라.
글을써라: 2018년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창의적인 작가들의 두뇌 능력을 측정하여 아이디어를 생산, 구성, 분석 하는데 관여하는 뇌의 영역에서 더 많은 회색 물질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사람에 비해 더 많은 뉴런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창의적인 작가들은 장기적인 기억과 관련된 일에 그들의 두뇌를 가동한다. 비록 글쓰기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시각 예술, 드라마, 그리고 창의성과 관련된 다른 활동을 시도 하는 것만으로도 뉴런 재생산을 촉진한다.
창의력은 뇌의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영역이자 뇌를 가장 많이 자극한다. 창의력을 발휘한다는 것은 사람 누구나의 본성이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세포의 과민반응 알러지 (0) | 2019.10.20 |
---|---|
패혈증의 원인과 증상을 알아봅니다 (0) | 2019.10.17 |
라임병의 원인과 증상 (0) | 2019.10.15 |
정신증 증상 (0) | 2019.10.13 |
극심한 피로감 왜? (0) | 2019.10.10 |